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이야기

베블런 효과 뜻 경제용어 사전

by 짠영 2022. 1. 5.
반응형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란

상류층 소비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비 행태로 가격이 오르는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19세기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경제학자인 소스타인 베블런이 '유한계급론'이라는 저술에서 과시 소비 개념으로 언급한 바 있습니다.

 

뛰는 몸값에도 없어서 못 산다는 명품을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코로나19 감염증의 여파로 해외여행에 제한이 걸리게 되고, 해외여행을 가지 못한 소비자들의 보복소비로 오픈런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오픈런이란, 백화점 매장 문이 열리자 마자 명품매장으로 달려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명품가방의 가격이 올라도 수요는 증가하면서 연일 화제를 모으기도 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가격을 올리면 올릴수록 오픈런 현상은 심화되었고, 오픈런 명품의 시초가 된 샤넬은 한해 동안 4차례 가격 인상에도 재고가 없어서 팔 수 없을 정도로 무서운 인기를 끌었습니다. 오픈런 현상이 심화되며 요즘은 오픈런 줄서기 알바도 생겨났습니다. 시급이 1만원 에서 1만 3천원까지 다양하게 포진되어 있어 단기 알바로도 인기가 높다고 합니다. 평일에는 본업을, 주말에는 투잡을 이용하는 직장인과 학생들로 오픈런 줄서기 대기 라인이 북적이고 있습니다.

 

한 겨울 찬바람 부는 영하의 강추위에도 수십명의 사람들이 백화점 앞을 줄지어 선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롱패딩과 마스크, 방한화로 중무장한 이들은 모두 명품을 사기 위해 줄을 서거나 대신 줄을 서주며 알바비를 받아가며 대신 줄서기 알바를 하는 중인 사람들입니다. 명품은 값이 계속 오르는 경우가 많아 리셀을 하거나 사용하다 중고로 되팔아도 손해는 아니라는 생각에 매장 개장시간만을 기다리는 인파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반응형

댓글